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교통공학11

신호 교차로(Traffic Signalized Intersection)의 개념과 운영 방식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관리하고 교차로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핵심적인 수단 중 하나가 신호 교차로(Traffic Signalized Intersection)입니다. 신호 교차로는 차량과 보행자의 이동을 조정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도로의 용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신호 교차로의 개념, 장단점, 주요 용어, 그리고 신호 제어 방식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1. 신호 교차로의 장점과 단점장점 (Advantages)질서 있는 차량 흐름 유지: 신호 체계를 통해 차량이 정해진 순서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혼잡을 줄인다.우회전 및 직각 충돌 감소: 신호 운영을 통해 90도 각도로 발생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다.교차로 용량 증가: 신호 최적화를 통해 동일한 교차로에서도 더 많은 차량을 .. 2025. 3. 14.
시공도 (Time-Space Diagram) 교통공학에서 시공도(Time-Space diagram)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주어진 교통 수요를 생각할 때, 교통 네트워크의 성능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야 해당 도로 설계가 알맞게 이루어졌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이때, 교통 네트워크의 성능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적인 것 중 하나가 시공도(Time-Space diagram)라고 생각됩니다.​시공도(Time-Space diagram)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하나의 축을 주행거리, 또 다른 축을 시간으로 하는 2차원 좌표에서 차량의 움직임을 나타낸 그림을 뜻합니다. 또 다른 표현으로는 '시간거리도'라고 부른다고도 합니다.​아래 그림처럼, 차량이 시간 t1에서 위치하는 장소에서 시간 t2가 될 때 있는 장소까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떻게 움직.. 2024. 7. 1.
최소곡선반경(Min. Radius of Circular Curve) 교통공학에서 최소곡선반경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 ​ ​ ​ 최소곡선반경(Min. Radius of Circular Curve)은? ​ 도로의 곡선 부분에서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계속도의 기준에 따른 최소곡선반경을 의미합니다. 도로의 곡선 부분은 직선 부분과는 다르게 윈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최대한 직선 부분과 비슷한 주행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고려해야할 점이 많습니다. 그래서 차량이 안전하게 돌 수 있는 최소한의 곡선 반지름을 규정하고 차량이 밖으로 밀려나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편경사를 규정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횡방향 마찰력이 원심력보다 크게 되어 차량이 바깥으로 밀려나지 않고 안전하게 주행을 할 수 있습니다. ​ 최소곡선반경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 2023. 8. 20.
평면 곡선(수평 곡선, Horizontal Curve) 2 교통공학에서 평면 곡선(수평 곡선)에 대해서 추가로 살펴보겠습니다. ​ ​ ​ ​ ​ 수평 곡선 관련 공식 입니다. - 접선 길이(Tangent Length) ​ - 현 길이(Long Chord Length) ​ - 호 길이(Curve Length) 수평 곡선은 지름과 degree of curve에 의해서 곡선이 sharp한지 smooth한지의 정도가 결정됩니다. ​ 보통 지름이 작은 경우에는 곡선의 변화율이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위험한 구간이 되고, 반대로 지름이 큰 경우에는 곡선 변화율이 작아지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한 구간이 됩니다. ​ Degree of Curve란 단위 길이(보통 100m)만큼 진행하였을 때 각도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두가지 기준으로 나뉘게 됩니다. ​ - Arc D.. 2023. 7. 23.
평면 곡선(수평 곡선, Horizontal Curve) 교통공학에서 평면 곡선(수평 곡선)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 ​ ​ ​ 평면 곡선(수평 곡선, Horizontal Curve)은? ​ 도로 상에서 진행하는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진행경로를 변경하게 해주는 도로로써 평면적인 곡선으로 구성된 도로 선형입니다. ​ ​ 수평 곡선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 도로의 방향 전환이 수평으로만 이루어져야 한다. - 두 직선 구간 사이의 전환을 구성한다. - 구 직선 구간 사이를 연결할 때 각을 이루면 안되며 서서히 변하는 곡선 구간을 이루어야 한다. ​ ​ 수평 곡선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단곡선(Simple Horizontal Curve) 단곡선: 한가지 종류의 곡선으로만 이루어진 수평곡선 입니다. 다시 말하면 한가지 종류의 지름을 가진 원.. 2023. 7. 22.
정지시거(Stop Sight Distance)와 판단시거(Decision Sight Distance) 교통공학에서 정지시거와 판단시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 ​ ​ ​ 시거(Sight Distance)란? ​ 운전자가 진행을 할 때, 어느 특정 순간에 (전방을)볼 수 있는 도로상의 길이를 시거라고 합니다. 크게 평면곡선의 경우와 수직(종단)곡선의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평면곡선의 경우에는 도로를 따라서 계산한 도로상의 길이를 이용하고, 수직(종단)곡선의 경우에는 수평거리를 사용합니다. 이 이유는 간단하게, GPS상의 거리(지도 상의 거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 먼저, 지난시간에 알아보았던 정지시거에 대해서 다시 언급하고 넘어가겠습니다. ​ ​ 정지 시거(Stop Sight Distance, SSD)란? ​ 정지 시거는 운전자가 사건이나 장애물을 인지하고부터 브레.. 2023. 7.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