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2 정지 거리 (Braking Distance)와 정지 시거(Stop Sight Distance) 교통공학에서의 정지 거리와 정지 시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지 거리(Braking distance)란? 인지반응 시간(PRT)동안 진행한 거리를 인지반응 거리(PRD)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인지반응 거리는 운전자가 상황을 인지하고부터 반응을 보이기까지의 시간동안 차량이 이동한 거리이기 때문에 실제로 멈추기까지 이동한 거리라고 볼 수 없습니다. 실제로 멈추기까지 이동한 거리는 인지반응 거리(PRD)와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부터 멈춘 순간까지 진행한 거리를 합한 것이 됩니다. 이때,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부터 멈춘 순간까지 진행한 거리를 정지 거리(Braking distance)라고 합니다.(또는 제동정지거리 라고도 합니다.) 정지 거리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Db = 정지 거리.. 2023. 7. 15. 인지반응 과정과 PRT(Perception Reaction Time) 교통공학에서의 인지반응 과정과 PR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지반응 과정(Perception Reaction Process, PIEV)이란? 운전자가 도로상에서 주행 중 무언가를 발견하거나 어떤 상황이 생겨 정지를 하거나 경로를 바꾸는 등의 행위를 하는 상황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이때 운전자가 이 상황을 인지하고 반응하기까지의 과정을 인지반응 과정이라고 합니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Perception(인지, 지각) - 운전자가 신호등, 표지판, 또는 도로상의 어떤 물체나 상황을 눈으로 보고 감지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사전에 주의를 해주는 구간의 경우 주의가 없는 구간의 경우보다 필요 시간이 짧게 걸립니다. 2. Identification(해석, 식별,.. 2023. 7. 14. 시력(Vision, Visual Acuity) 교통공학에서의 시력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교통공학의 기본 구성요소로는 - 운전자, 자전거 이용자, 보행지를 포함한 모든 사람 - 차량 - 도로 및 고속도로 - 교통 제어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운전자의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 앞차의 거동을 따라 하려 한다. - 익숙하지 않은 곳에서는 판단이 느려진다. - 어떤 물체나 상황을 보고 행동하는 과정은 지각 - 인지 - 판단 - 반응 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 장시간 운전 시 반응이 느려진다. - 속도가 증가하면 볼 수 있는 시야가 줄어들게 된다. -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하면 시각능력이 감소하고 평균 반응 시간이 증가한다. 와 같은 특징들이 있습니다. 시력(Vision)이란? 해당 물체를 명백히 보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입니다.. 2023. 7. 13. 이동성(Mobility)과 접근성(Accessbility) 교통 공학에서의 이동성과 접근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동성(Mobility)이란? 도로에서 교통류가 잘 흐를 수 있는 정도를 뜻합니다. 다시말해 교통량을 어느 정도 제공해줄 수 있느냐의 정도로 이동성이 클수록 통행 가능한 교통량이 많아져 용량도 커지게 됩니다. 대표적인 이동성이 큰 도로는 '고속도로'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에선 차량들이 빨리 많이 지나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고속도로의 이동성은 크지만 고속도로에서 달리는 차량들은 함부로 나갈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과 관련된 것이 접근성 입니다. 접근성(Accessbility)이란? 교통의 구성요소인 차량이나 사람들이 원하는 곳으로 선택을 하여 접근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다시말해 차량이나 사.. 2023. 7. 12. 용량(Capacity) 교통의 특성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특성 중 용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교통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교통량(Traffic Volume)이란? 도로 상에서 지나가는 차량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입니다. 다시말해 일정한 시간동안 일정한 구간을 지나는 차량의 수 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시간당 차량의 단위로 나타냅니다. 다음의 식은 교통량을 구할 때 사용하는 식 입니다. Q = u × k 여기서 Q : 교통량 (차량수/시간)(vehicle/hour) u : 속도 (거리/시간)(km/hour) k : 밀도 (차량수/거리)(vehicle/km) 를 나타내게 됩니다. 다음 그래프는 교통량과 밀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교통 밀도가 높아질수록 교통량은 .. 2023. 7. 11. groupby - dataframe의 같은 항목끼리 묶어주기 Python에서 pandas의 groupby 함수의 사용 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정리하고 분석할 때, dataframe의 형태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dataframe의 형태로 데이터를 분석하면 많은 이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dataframe 형태의 데이터에서 같은 항목끼리 묶어주는 groupby를 정리해보았습니다. - pandas 불러오기 우선, groupby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pandas를 import해주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pandas에서 제공하는 함수이기 때문입니다. import pandas as pd - 데이터 불러오기 그 다음으로, 분석할 데이터를 불러옵니다. 참고로, 저는 서울 주민등록인구 데이터를 사용했습니다.. 2023. 7. 10. 이전 1 ··· 9 10 11 1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