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에서 치면과 치면의 경계부위(사이)의 모서리를 연(margin)이라 합니다. 이때, 각 면에서 연 또는 모서리가 향하고 있는 방향에 따라 이름을 부릅니다.
[전치부 (anterior region)]
먼저, 전치 부위에 있는 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순면 (labial surface)>
전치의 순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확인할 수 있는 연은 크게 네 가지가 있습니다.
- 절단연(incisal margin): 치아가 맞물리는 부분에 존재하는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전치의 경우에는 음식을 섭취할 때 음식물을 절단하는 부분의 모서리라고 생각하면 쉬울 것 같습니다. 다만, 견치에서는 절단연 부위가 뾰족하기 때문에 근심 쪽 모서리인 '근심절단연(mesioincisal margin)'과 원심 쪽 모서리인 '원심절단연(distoincisal margin)'으로 나뉩니다.
- 근심연(mesi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근심 쪽에 위치하는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 원심연(dist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원심 쪽에 위치하는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 치경연(cervic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치은과 맞닿는 부분의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이 모서리가 치경부(치아목) 부근으로, 법랑질의 하방 경계선이라 볼 수 있습니다.
<설면 (lingual surface)>
전치의 설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확인할 수 있는 연은 순면과 마찬가지로 '절단연', '근심연', '원심연', '치경연' 네 가지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견치에서 원심절단연의 길이는 근심절단연보다 길게 나타납니다. (그림에서 반대로 나타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림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치아 설면에 움푹 패인 오목한 부분을 lingual fossa라고 합니다.
<인접면 (proximal surface)>
전치의 인접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확인할 수 있는 연은 보통 세 가지가 있습니다. 그래서 전치의 인접면의 모양은 대체로 삼각형의 모양을 보입니다.
- 순측연(labi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입술 쪽에 가까운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 설측연(lingu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혀 쪽에 가까운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 치경연(cervic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치은과 맞닿는 부분의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구치부 (posterior region)]
다음으로, 구치 부위에 있는 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협면 (buccal surface)>
구치의 협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확인할 수 있는 연은 크게 네 가지가 있습니다. (치아의 앞에서 바라본 방향입니다.)
- 근심연(mesi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근심 쪽에 위치하는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 원심연(dist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원심 쪽에 위치하는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 교합연(occlusal margin): 치아가 맞물리는 부분에 존재하는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구치의 경우에는 음식을 섭취할 때 음식물을 씹고 으깨는 부분 쪽에 위치하는 모서리라고 생각하면 쉬울 것 같습니다.
- 치경연(cervic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치은과 맞닿는 부분의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이 모서리가 치경부(치아목) 부근으로, 법랑질의 하방 경계선이라 볼 수 있습니다. 구치에서 치경연의 굴곡은 전치에서보다 보통 약하게 나타납니다.
그림과 같이 구치의 치관에는 여러 개의 교두가 발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치근이 3개인 치아는 상악 제1, 2대구치입니다. 이때, 치근은 협면(buccal) 쪽에 두 개(mesiobuccal root, distobuccal root)가 위치하고, 설면(lingual) 쪽에 한 개(lingual root)가 위치하게 됩니다. 그리고 치근들이 만나서 넓어진 부위를 trunk라고 합니다.
<설면 (lingual surface)>
구치의 설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확인할 수 있는 연은 협면과 마찬가지로 '근심연', '원심연', '교합연', '치경연' 네 가지가 있습니다.
<인접면 (proximal surface)>
구치의 인접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확인할 수 있는 연은 보통 네 가지가 있습니다. 그래서 전치의 인접면의 모양은 대체로 평행사변형이나 사다리꼴과 같은 사각형의 모양을 보입니다. (치아의 옆에서 바라본 방향입니다.)
- 협측연(bucc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볼 쪽에 가까운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 설측연(lingu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혀 쪽에 가까운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 교합연 (occlusal margin): 치아가 맞물리는 부분에 존재하는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 치경연(cervic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치은과 맞닿는 부분의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교합면 (occlusal surface)>
구치의 교합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확인할 수 있는 연은 크게 네 가지가 있습니다. (치아의 위에서 바라본 방향입니다.)
- 근심연(mesi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근심 쪽에 위치하는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 원심연(dist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원심 쪽에 위치하는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 협측연(bucc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볼 쪽에 가까운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 설측연(lingual margin): 치아의 모서리 중 혀 쪽에 가까운 모서리를 의미합니다.
[참고문헌]
- 치아형태학 (이승표)
'치아형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두 (cusp) (0) | 2024.08.19 |
---|---|
각 (angle, 치아의 뾰족한 부분) (0) | 2024.08.05 |
치면 (Surface of tooth) (10) | 2024.07.22 |
치아의 이름 및 표기법 (0) | 2024.07.17 |
치아의 분류 및 명칭 (0) | 2024.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