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에서 면과 면 또는 연과 연이 만나서 형성되는 뾰족한 부위를 각(angle)이라 합니다. 치아의 각에는 크게 면과 면이 만나서 생기는 선각(능각, line angle)과 연과 연이 만나서 생기는 점각(첨각, point angle)이 있습니다.
[선각 (능각, line angle)]
치아에서 두 개의 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선상의 각을 '선각'이라고 합니다. 실제로는 두 면이 만나는 방향에 따라 각이 변하기 때문에 일정한 값은 아니나 대략적인 각의 크기도 나타냅니다.
<전치부 (anterior region)>
전치부에는 보통 4개의 선각이 존재한다고 봅니다. 간혹 6개의 선각이라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 근심순측선각(근심순측능각, mesiolabial line angle): 전치부의 순면과 근심측 인접면이 만나서 생기는 각입니다.
- 근심설측선각(근심설측능각, mesiolingual line angle): 전치부의 설면과 근심측 인접면이 만나서 생기는 각입니다.
- 원심순측선각(원심순측능각, distolabial line angle): 전치부의 순면과 원심측 인접면이 만나서 생기는 각입니다.
- 원심설측선각(원심설측능각, distolingual line angle): 전치부의 설면과 원심측 인접면이 만나서 생기는 각입니다.
선각이 6개라고 보는 경우에는 추가로 치아가 맞물리는 부분에 절단면이 있다고 보고, 절단면과 순면이 만나 생기는 각인 순측절단선각(순측절단능각, labioincisal line angle)과 절단면과 설면이 만나 생기는 각인 설측절단선각(설측절단능각, linguoincisal line angle)이 추가됩니다.
<구치부 (posterior region)>
구치부에는 8개의 선각이 존재합니다. (구치부의 경우, 교합면이 항상 면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선각은 8개가 나타나게 됩니다.)
- 근심협측선각(근심협측능각, mesiobuccal line angle): 구치부의 협면과 근심측 인접면이 만나서 생기는 각입니다.
- 원심혐측선각(원심협측능각, distobuccal line angle): 구치부의 협면과 원심측 인접면이 만나서 생기는 각입니다.
- 근심설측선각(근심설측능각, mesiolingual line angle): 구치부의 설면과 근심측 인접면이 만나서 생기는 각입니다.
- 원심설측선각(원심설측능각, distolingual line angle): 구치부의 설면과 원심측 인접면이 만나서 생기는 각입니다.
- 협측교합선각(협측교합능각, bucco-occlusal line angle): 구치부의 협면과 교합면이 만나서 생기는 각입니다.
- 설측교합선각(설측교합능각, linguo-occlusal line angle): 구치부의 설면과 교합면이 만나서 생기는 각입니다.
- 근심교합선각(근심교합능각, mesio-occlusal line angle): 구치부의 근심측 인접면과 교합면이 만나서 생기는 각 입니다.
- 원심교합선각(원심교합능각, disto-occlusal line angle): 구치부의 원심측 인접면과 교합면이 만나서 생기는 각 입니다.
[점각 (첨각, point angle)]
일반적으로 '점각'은 치아에서 3개의 면이 만나서 이루어지는 꼭지점의 각을 의미합니다. 점을 빼고 그냥 '각'이라 하기도 합니다. 각은 두 선이 만나 이루어지는 것으로 엄밀히 말하면 각 점에 3개의 각이 존재하나 점각은 바라보는 면에서 보이는 두 선이 만드는 각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한가지 예를 들자면, 구치부의 근심협측교합각의 경우에는 근심면에서는 협측연과 교합연이 만드는 각도를 가리키고, 협측면에서는 근심연과 교합연이 만드는 각도를 가리키며. 교합면에서는 근심연과 협측연이 만드는 각도를 가리키게 됩니다. 따라서 바라보는 면에 따라 두 연의 이름만 사용하기도 합니다. 즉 근심면에서는 협측교합각, 협측면에서는 근심교합각, 그리고 교합면에서는 근심협측각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전치부 (anterior region)>
2개의 점각인 경우 (치아가 맞물리는 부분에 절단면이 면의 형태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 경우 = 4개의 선각의 경우)
- 근심순측설측점(첨)각(mesiolabiolingual point angle): 전치부의 근심측 인접면, 순면, 설면이 만나 형성되는 점각입니다.
- 원심순측설측점(첨)각(disiolabiolingual point angle): 전치부의 원심측 인접면, 순면, 설면이 만나 형성되는 점각입니다.
4개의 점각인 경우 (치아가 맞물리는 부분에 절단면이 면의 형태로 존재한다고 보는 경우 = 6개의 선각의 경우)
- 근심순측절단점(첨)각(mesiolabioincisal point angle)
- 원심순측절단점(첨)각(distolabioincisal point angle)
- 근심설측절단점(첨)각(mesiolinguoincisal point angle)
- 원심설측절단점(첨)각(distolinguoincisal point angle)
<구치부 (posterior region)>
구치부에는 4개의 점각이 존재합니다. (구치부의 경우, 교합면이 항상 면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점각은 4개가 나타나게 됩니다.)
- 근심협측교합점(첨)각(mesiobucco-occlusal point angle)
- 원심협측교합점(첨)각(distobucco-occlusal point angle)
- 근심설측교합점(첨)각(mesiolinguo-occlusal point angle)
- 원심설측교합점(첨)각(distolinguo-occlusal point angle)
[참고문헌]
- 치아형태학 (이승표)
'치아형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융선 (ridge) (0) | 2024.08.19 |
---|---|
교두 (cusp) (0) | 2024.08.19 |
연 (치아의 모서리, margin) (2) | 2024.08.01 |
치면 (Surface of tooth) (10) | 2024.07.22 |
치아의 이름 및 표기법 (0) | 202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