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의 치관에서 선 모양으로 솟아 있는 부분을 '융선'이라고 합니다.
[교두융선 (cusp ridge)]
견치나 구치의 각 교두정에서 협/설/근/원심측으로 주행하는 융선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상악 제1대구치의 교두는 4개이고, 하악 제1대구치의 교두는 5개 입니다.
[삼각융선 (triangular ridge)]
구치의 주요 교두정에서 교합면의 중심부로 내려오는 삼각형 모양의 융선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상악 제1소구치의 교두는 2개입니다. 그리고 아래 그림처럼 두 개의 삼각융선이 이어지는 것을 '연합융선'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또한, 협측 교두(buccal cusp)에서 나오는 설측교두융선(lingual cusp ridge)와 그림의 협측삼각융선(buccal triangular ridge)는 같은 것입니다.
[변연융선 (marginal ridge)]
전치의 설면과 구치의 교합면에서 가장자리에 있는 융선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모든 치아에는 두 개의 변연융선이 존재합니다.
[횡주융선 (transverse ridge)]
구치 교합면 협/설측에서 두 개의 삼각융선이 서로 연결되어 교합면을 가로지르는 연합융선을 의미합니다. 소구치나 대구치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mesial transverse ridge의 경우에는 mesiobuccal triangular ridge와 mesiolingual triangular ridg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주융선 (oblique ridge)]
구치의 교합면에서 원심협측교두와 근심설측교두 두 개의 삼각융선이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결된 연합융선을 의미합니다. transverse ridge의 한 종류로 생각할 수도 있으며, 상악 대구치에서 주로 볼 수 있습니다.
[설면융선 (lingual ridge)]
설면결절(cingulum)에서 절단연을 향해 나오는 융선을 의미하며, 상/하악 견치의 설면에서 나타납니다.
[참고문헌]
- 치아형태학 (이승표)
'치아형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아 크기 및 맹출 시기 - 영구치 (4) | 2024.08.26 |
---|---|
치아의 결절 (tubercle): 치관의 튀어나온 부분 중 하나 (0) | 2024.08.21 |
교두 (cusp) (0) | 2024.08.19 |
각 (angle, 치아의 뾰족한 부분) (0) | 2024.08.05 |
연 (치아의 모서리, margin) (2) | 2024.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