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의 치관에서 '결절'이란, 볼록 튀어나온 부분을 의미합니다.
[절단결절 (mamelon)]
절치에서 치아가 맞물리는 부위에 존재하는 절단연(incisal edge)에 존재하는 작은 결절을 의미합니다. 처음 치아가 맹출했을 때는 보통 3개의 결절이 존재하지만, 점점 마모되어 사라지게 됩니다. 나이가 어릴 때는 아래 그림과 같이 절치에서 절단결절이 관찰되지만, 나이가 들수록 점차 마모가 되어 관찰이 되지 않게 됩니다.

[설면결절 (cingulum, 설면치경결절)]
전치에서 설면의 치경 3분의 1 부위에 크게 튀어나와 있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이 부위의 특징은 근원심변연융선과 이어진다는 것 입니다. 또한, 절치에서 가장 많이 튀어나와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치경 1/3은 치아를 세로 방향으로 3등분 하였을 때 치경 쪽의 1/3 부분을 말하는 것입니다.

[부가 결절 (additional tubercle)]
부가 결절은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결절이 아닌,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주로 나타나는 결절을 의미하기 때문에 다른 말로는 '이상 결절(abnormal tubercle)'이라고도 합니다. 부가 결절은 보통 상악 제1소구치와 상악 제1~3대구치에서 발견되며, 상악 제2대구치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관찰 가능한 4가지의 부가 결절은 아래와 같습니다.
개재결정 (Terra's tubercle) |
Carabelli 결절 (Carabelli tubercle) |
가성구치결절 (paramolar tubercle) |
후구치결절 (distomolar tubercle) |
|
발견 치아 | 상악 제1소구치 | 상악 제1대구치 | 상악 제2대구치 | 상악 제3대구치 |
발견 위치 | 교합면 | 근심설측교두의 설측 | 협면 | 원심면 |
기타 특징 | 제5교두라고도 불림 |
아래 그림은 개재결절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개재결정은 주로 mesial marginal ridge 쪽에 형성됩니다.

아래 그림은 Carabelli 결절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참고문헌]
- 치아형태학 (이승표)
'치아형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아 크기 및 맹출 시기 - 영구치 (4) | 2024.08.26 |
---|---|
융선 (ridge) (0) | 2024.08.19 |
교두 (cusp) (0) | 2024.08.19 |
각 (angle, 치아의 뾰족한 부분) (0) | 2024.08.05 |
연 (치아의 모서리, margin) (2) | 2024.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