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공학

정지시거(Stop Sight Distance)와 판단시거(Decision Sight Distance)

by S-Pang 2023. 7. 16.
728x90
반응형

교통공학에서 정지시거와 판단시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시거(Sight Distance)란?

 

운전자가 진행을 할 때, 어느 특정 순간에 (전방을)볼 수 있는 도로상의 길이를 시거라고 합니다. 크게 평면곡선의 경우와 수직(종단)곡선의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평면곡선의 경우에는 도로를 따라서 계산한 도로상의 길이를 이용하고, 수직(종단)곡선의 경우에는 수평거리를 사용합니다. 이 이유는 간단하게, GPS상의 거리(지도 상의 거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먼저, 지난시간에 알아보았던 정지시거에 대해서 다시 언급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정지 시거(Stop Sight Distance, SSD)란?

 

정지 시거는 운전자가 사건이나 장애물을 인지하고부터 브레이크를 밟은 후 완전히 멈추기까지 이동한 도로상의 거리를 뜻하게 됩니다. 그래서 다시 정리하면 인지 반응 거리(공주 거리)와 정지 거리(제동거리)를 합한 것이 정지 시거가 됩니다.

정지 시거의 경우, 순전히 운전자의 반응 속도와 자동차의 제동 속도만 고려하여 산정한 것이기 때문에 주어진 환경이 완벽한 경우에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도심과 같이 교통이 혼잡하고 유동인구도 많은 곳에서는 정지 시거를 바로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조건들을 고려해주기 위해서 사용되는 개념이 판단 시거 입니다.

 

 

 

 

판단 시거(Decision Sight Distance, DSD)란?

 

SSD는 운전자가 상황을 예상할 수 있는 환경에서 적용하기 좋습니다. 반면, 도심과 같이 상황이 복잡하고 예상할 수 없는 곳이나 운전자가 익숙하지 않은 곳에서는 반응 속도가 느려 PRT가 길어질 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도로가 복잡한 곳이나 익숙하지 않은 곳, 그리고 위험한 도로와 같은 곳에서는 SSD보다 더 여유있는 차량 조작 시간 및 거리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판단 시거를 사용하게 됩니다.

 

판단 시거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하길 권장됩니다.(AASHTO)

- 교차로 부근에서의 차로수 감소 및 증가

- 톨 게이트

- 교통 통제 장치, 광고판과 같이 시각적 소음이 많은 곳

다음의 자료는 SSD와 DSD의 기준의 예시입니다.

 

SSD의 적용 기준 - 미국

 

DSD의 적용 기준 - 미국

 

 

그리고 다음의 그림은 SSD와 DSD의 기념을 단순화한 그림입니다. 위의 그림은 SSD로 완벽한 조건에서의 정지 시거임을 설명하는 그림이고, 밑의 그림은 DSD로 완벽한 환경이 아니라 복잡한 외부 조건이 존재하는 경우의 판단 시거를 설명하는 그림입니다.

 

SSD 와 DSD를 단순 시각화 한 그림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