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구강생화학이란?
구강생화학은 두개악안면을 이루는 경조직과 연조직의 구조 및 생화학적 대사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 경조직
- 악골: 상악골, 하악골, 경구개
- 치아: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
- 연조직
- 피부, 볼, 구강점막, 혀, 잇몸(치은)
- 치아의 연조직: 치수
구강의 특징 및 중요성
- 구강의 특징
- 소화계의 시작점이자 발음기관의 최종 부위
- 안면 윤곽 형성에 중요한 역할
- 치아는 저작 기능 담당
- 타액 저류로 인해 구강이 항상 다습
- 구호흡 시 건조와 습윤이 반복됨
- 구강 내 온도 변화 범위: 5~70도
- 섭취 음식에 따라 산성~알칼리성 변화
- 골조직과 치아 등 다양한 형태의 경조직 존재
- 다양한 점막으로 구성된 연조직
- 시진이 가능한 장기이며, 다른 질환과 상호작용 가능
타액의 기능
- 소화 기능
- α-amylase: 탄수화물을 분해해 2(3)당류 또는 단당류로 전환
- 항균 작용
- Lysozyme: 세균의 세포벽 분해
- Lactoferrin: 철 결합 단백질로 세균 성장 억제
- Lactoperoxidase: 과산화수소와 작용해 독성 물질 생성
- Secretory IgA: 세균 부착 억제 및 군락화 방지
- 완충 능력
- 강산, 강염기에 대한 pH 변화를 완화
- 타액의 중탄산, 인산, 단백질 완충 작용으로 치아우식증 예방
- 윤활 작용
- 타액은 구강 내 표면을 덮어 마찰을 줄이고 구강점막 보호
- 당단백질(glycoprotein)이 윤활 및 점도 유지에 관여
- 위생 작용
- 자극 타액: 2.5~5.0mL/min, 비자극 타액: 0.3mL/min
- 하루 700~800mL의 타액 분비로 세균, 독소 제거
- 미각
- gustin: 아연결합단백질로 미각 인식에 중요한 역할
- 아연 결핍 시 미각 장애 발생
- 수복 작용
- 초기 치아우식병소를 재석회화해 치아 보호
- 타액단백질막이 치아 표면에 형성되어 재석회화 유도
- 수분 균형 조절
- 탈수 상태에 따라 타액 분비 조절로 체내 수분 보존
구강은 소화와 발음, 면역 기능까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타액은 구강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728x90
반응형
'생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강 점막과 치은의 구조 및 기능: 구강 건강의 중요한 기초 (0) | 2025.01.18 |
---|---|
구강생화학: 타액의 성분과 역할 (0) | 2025.01.02 |
구강생화학: 타액 (0) | 2024.12.31 |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 (RT-PCR,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0) | 2024.07.01 |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0) | 202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