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치아형태학6 융선 (ridge) 치아의 치관에서 선 모양으로 솟아 있는 부분을 '융선'이라고 합니다. [교두융선 (cusp ridge)] 견치나 구치의 각 교두정에서 협/설/근/원심측으로 주행하는 융선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상악 제1대구치의 교두는 4개이고, 하악 제1대구치의 교두는 5개 입니다. [삼각융선 (triangular ridge)] 구치의 주요 교두정에서 교합면의 중심부로 내려오는 삼각형 모양의 융선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상악 제1소구치의 교두는 2개입니다. 그리고 아래 그림처럼 두 개의 삼각융선이 이어지는 것을 '연합융선'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또한, 협측 교두(buccal cusp)에서 나오는 설측교두융선(lingual cusp ridge)와 그림의 협측삼각융선(buccal triangular ridge)는.. 2024. 8. 19. 교두 (cusp) 치아의 치관에 존재하는 튀어나온 부위(융기부, prominence) 중, '교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교두(cusp)은 구치들의 교합면에서 작은 산봉우리처럼 튀어나온 부분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교두는 4개의 융선을 갖는 피라미드형을 보이며, 그 끝은 교두정(cusp tip)이라고 합니다. 교두정은 교두에서 가장 높은 부분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아래의 빨간 선과 같이 각 교두에는 4개의 융선을 가짐니다. (3개의 융선을 가질수도 있음) 아래의 그림은 상악제1소구치의 교두(협측교두, 설측교두)를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위쪽의 협측교두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교두융선이 4개가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협측교두정에서 4방향으로 생기는 융선은 buccal cusp ridg.. 2024. 8. 19. 각 (angle, 치아의 뾰족한 부분) 치아에서 면과 면 또는 연과 연이 만나서 형성되는 뾰족한 부위를 각(angle)이라 합니다. 치아의 각에는 크게 면과 면이 만나서 생기는 선각(능각, line angle)과 연과 연이 만나서 생기는 점각(첨각, point angle)이 있습니다. [선각 (능각, line angle)] 치아에서 두 개의 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선상의 각을 '선각'이라고 합니다. 실제로는 두 면이 만나는 방향에 따라 각이 변하기 때문에 일정한 값은 아니나 대략적인 각의 크기도 나타냅니다. 전치부에는 보통 4개의 선각이 존재한다고 봅니다. 간혹 6개의 선각이라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근심순측선각(근심순측능각, mesiolabial line angle): 전치부의 순면과 근심측 인접면이 만나서 생기는 각입니다.근심설측.. 2024. 8. 5. 치면 (Surface of tooth) 치아의 치관은 여러 개의 면으로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치면은 크게 '전치면'과 '구치면'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치면 (tooth surface of anterior teeth)] 전치면은 전치의 치관을 구성하는 치면을 의미합니다.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순면(labial surface): 치아의 치관 중 입술 쪽을 향한 면을 의미합니다. '입술 순'자를 사용하여 순면으로 부릅니다.설면(lingual surface): 치아의 치관 중 혀 쪽을 향한 면을 의미합니다. 하악의 치아에서는 항상 '설면'이라 부르는데, 상악의 치아에서는 '구개면(palatal surface)'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구개는 입천장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설면은 순면과 정반대에 위치.. 2024. 7. 22. 치아의 분류 및 명칭 [맹출 시기에 따른 분류] 치아는 맹출 시기에 따라 '유치'와 '영구치'로 구분합니다. 유치는 영어로 'milk teeth' 라고 부르며, primary teeth, baby teeth, milk teeth, temporary teeth와 같이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립니다. 생후 6개월부터 나오며 일악편측에 5개씩 총 20개로 이루어집니다. 성장과 함께 빠지기 때문에 탈락치(deciduous teeth)라고도 합니다. 영구치는 생후 6년부터 나오며 일악편측에 8개씩 총 32개로 이루어집니다. 유치가 빠진 자리에 나오는 20개의 영구치를 대생치 혹은 계승치(succedaneous teeth / successional teeth)라고 하며, 유치의 원심 쪽(입술과 먼 안쪽)에서 새로 나오는 12개의.. 2024. 7. 15. 치아의 기능 및 구조 [치아 기능] 일반적으로 인간의 치아는 다음 세종류의 기능이 있습니다.저작 (mastication)발음 (phonation)심미 (esthetics) [치아 구조] 치아는 크게 치관과 치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치관은 입안에서 직접 볼 수 있는 부분으로 가장 겉은 사기질로 싸여있습니다. 치관은 치아의 일반적 기능인 저작, 발음, 심미를 담당합니다. 각 치아별로 다양한 모양을 가집니다. 치관은 해부학적 치관과 임상적 치관의 서로 다른 기준에서 바라본 두 가지의 정의가 있습니다.해부학적 치관 (anatomical crown): 사기질(enamel)에 싸여 있는 치관으로, 치경선(cervical line)의 위쪽을 뜻합니다.임상적 치관 (clinical crown): 치은선(gingival li.. 2024. 7. 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